
Killing killer Life Science1 2019
여러분의 생1 만점을 위하여
가격
8,900원
이 PDF 자료는 현재 606,818원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 PDF 자료입니다. 자료는 다운로드 받으면 환불/취소가 불가합니다. 신중하게 구매해주세요.
책 소개
이 생명과학 파일은 크게 두 파트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1. 지엽
2. 킬러
지엽은 ‘이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 놓치기 쉬운 지엽들을 적은 것입니다.
킬러는 이 파일을 만든 주된 이유입니다.
순서대로 DNA 상대량, 형질이 표현될 확률, 다인자 유전, 다인자 연관, 비분리, 가계도, 신경 전도 속도, 근수축 유형을 적었습니다.
모든 문제는 평가원 기출이며, 이 파일엔 19년 9평까지의 해설이 쓰여져 있습니다.
여러분이 기본적인 요소들은 알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설명하는 태도를 취한 부분이 있고, 설명이 미흡한 부분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가 완전히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힘들고 어려운 설명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1등급 이상의 학생들에게는 너무 당연한 이야기들의 나열이기 때문에 얻어가는 것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높은 3등급~2등급 정도의 학생들이 읽어 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확히는 비유전이 80% 정도 잡혀서 가끔 모의고사 보기 한 개에서 턱턱 막히는 학생,
유전 가계도는 도무지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몰라서 가계도는 버리고 1등급만 맞자 하는 게 목표인 학생,
자기만의 킬러 풀이 방식이 어떻게 해도 정형화되지 않고 있는 학생들이 읽었을 때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그 이하 학생들도 노력 여하에 따라서 언제든지 큰 소득을 얻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파일을 산다고 모두가 좋은 결과를 가져가는 것은 아닙니다.
이 풀이법들은 여러분의 고된 노력 없이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저는 제 풀이 방법을 소개하고 기출문제 몇 개에 적용해서 해설할 것입니다.
그 풀이방법을 갈고 닦아 여러분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여러분의 노력입니다.
여러분의 생명과학1 성적 향상에 제가 조금이라도 도움을 보탰으면 합니다.
오타는 오르비 아이디 '사람낚는어부(IMIN 599408)'로 쪽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타 사항은 이 곳에 안내드리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11 마지막에서 두번째 줄 "주의하실 부분이 있는데, 절대로 (나)가 분열해서 (다)가 된 게 아닙니다."
라는 문장에서 (나)를 (가)로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1. 지엽
2. 킬러
지엽은 ‘이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 놓치기 쉬운 지엽들을 적은 것입니다.
킬러는 이 파일을 만든 주된 이유입니다.
순서대로 DNA 상대량, 형질이 표현될 확률, 다인자 유전, 다인자 연관, 비분리, 가계도, 신경 전도 속도, 근수축 유형을 적었습니다.
모든 문제는 평가원 기출이며, 이 파일엔 19년 9평까지의 해설이 쓰여져 있습니다.
여러분이 기본적인 요소들은 알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설명하는 태도를 취한 부분이 있고, 설명이 미흡한 부분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가 완전히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힘들고 어려운 설명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1등급 이상의 학생들에게는 너무 당연한 이야기들의 나열이기 때문에 얻어가는 것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높은 3등급~2등급 정도의 학생들이 읽어 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확히는 비유전이 80% 정도 잡혀서 가끔 모의고사 보기 한 개에서 턱턱 막히는 학생,
유전 가계도는 도무지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몰라서 가계도는 버리고 1등급만 맞자 하는 게 목표인 학생,
자기만의 킬러 풀이 방식이 어떻게 해도 정형화되지 않고 있는 학생들이 읽었을 때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그 이하 학생들도 노력 여하에 따라서 언제든지 큰 소득을 얻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파일을 산다고 모두가 좋은 결과를 가져가는 것은 아닙니다.
이 풀이법들은 여러분의 고된 노력 없이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저는 제 풀이 방법을 소개하고 기출문제 몇 개에 적용해서 해설할 것입니다.
그 풀이방법을 갈고 닦아 여러분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여러분의 노력입니다.
여러분의 생명과학1 성적 향상에 제가 조금이라도 도움을 보탰으면 합니다.
오타는 오르비 아이디 '사람낚는어부(IMIN 599408)'로 쪽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타 사항은 이 곳에 안내드리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11 마지막에서 두번째 줄 "주의하실 부분이 있는데, 절대로 (나)가 분열해서 (다)가 된 게 아닙니다."
라는 문장에서 (나)를 (가)로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자 소개
16수능 생명과학 1 3등급
17수능 생명과학 1 3등급
18수능 생명과학 1 50점 (20분컷)
상위 0.4%의 수능 성적으로 삼룡의 중 한 대학의 의예과 18학번으로 재학 중.
17수능 생명과학 1 3등급
18수능 생명과학 1 50점 (20분컷)
상위 0.4%의 수능 성적으로 삼룡의 중 한 대학의 의예과 18학번으로 재학 중.
목차
1. 작성자의 머리말
2. 지엽 48제
3. 킬러 유형
3-1. DNA 상대량
3-2. 형질이 표현될 확률
3-3. 다인자 유전
3-4. 다인자 연관
3-5. 비분리
3-6. 가계도
3-7. 신경 전도 속도
3-8. 근수축
4. 작성자의 맺음말
2. 지엽 48제
3. 킬러 유형
3-1. DNA 상대량
3-2. 형질이 표현될 확률
3-3. 다인자 유전
3-4. 다인자 연관
3-5. 비분리
3-6. 가계도
3-7. 신경 전도 속도
3-8. 근수축
4. 작성자의 맺음말
※ 다운로드 오류 : 상품관리자에게 쪽지보내기
※ 내용 문의 : 댓글 다세요
※ 내용 문의 : 댓글 다세요
00:56:34
17:53:39
09:27:12
책 소개에 이미 19년 9평까지의 해설이라고 되어있고, 올해 6평 이전에 판매 개시하였기 때문에 올해 평가원 기출이 없습니다. 그 부분은 차후 따로 게시글로 해설할 계획입니다 by572AwT0c4Z9h | 2019.07.02 01:57:08
23:17:39
지엽 2번에서
2. 질소(N)를 구성 원소로 가지고 있는 물질은 단백질과 핵산, 인지질입니다. 핵산에는 인(P)도 있습니다.
인데, 여기에서 인지질이 질소를 구성 원소를 가지고 있다는 말을 처음 봐서 인강 Q&A 게시판에 질문을 했는데 해당 답변을 받았습니다.
물론 지엽적인 부분들 중에서는 수능에 절대로 출제하지 못할 내용도 있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다만 수능 개념을 넘어서는 지엽들 중 틀린 내용이 존재한다면 수정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답변 내용
[우선 일반적으로 지질은 C, H, O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인지질도 지질에 속하지만 중성지방이나 스테로이드에서 인이나 질소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인데요.
인지질은 일반적으로 글리세롤에 2개의 지방산이 결합하고 하나의 인산기가 붙은 구조를 말합니다.
이것만 본다면 여기에는 질소가 없는 것이고요.
인산기에 에탄올아민, 이노시톨, 세린, 콜린 등의 물질이 와서 결합할 수 있는데 이것들이 인지질과 결합한 형태를
포스포글리세리드 계열이라고 합니다. 포스포글리세리드 뿐만 아니라 스핑고지질 중에서도 인지질인 것이 있고요.
이 중 이노시톨이 인지질에 결합한 형태인 포스파티딜 이노시톨에는 질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모든 인지질에 질소가 포함된다고 일반화할 수도 없게 됩니다.]
혹여나 오류가 아니라면 다행이겠지만
오류면 공지하셔야 할 거 같습니다!
p.s. 올컬러 프린팅해서 제본했습니다! 유용하게 쓸게요 :)
다만 일반적으로 수능 및 모의고사를 출제할 적에 있어서 모든 문제는 항상 고등 교육 과정 이내 범위에 있는 개념으로 문제를 출제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DNA가 이중 나선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 고등 교육 과정이지만 실제로는 hoogsteen 염기쌍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삼중 나선 구조를 가지는 DNA가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가지고 DNA는 이중 나선 구조를 가진다는 보기가 틀렸다고 하진 않습니다.
따라서 저희가 고등학교 레벨에서 마주하게 되는 보통의 생명과학 1 레벨에서 일컫는 "인지질"은 N 또한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능에서는 논란이 될 부분을 출제하지 않겠지만, 몇몇 사설 모의고사에선 충분히 다룰 수 있는 내용이기에 학생분 입장에서도 이렇게 문제가 나올 수는 있다는 것을 알아 놓으시는 게 좋으실 듯싶습니다! 또한 최근 수능 출제 경향을 보니 분명 오류가 있는 부분도 그냥 넘어가는 모습을 왕왕 보이는게 최근 평가원입니다.
물론 분명히 생물학적으로 엄밀히 따지면 논리적으로 어폐가 있는 부분임은 확실해 보입니다. 저 또한 처음 알았던 사실이구요 8ㅅ8
다시 한번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 by572AwT0c4Z9h | 2019.06.19 13:33:59
20:25:00